뉴스

국내외 기사

중기부, AI 헬스케어 스타트업 혁신과 글로벌 진출 방안 모색
국내
  • 작성자
  • 작성일자
  • 조회291

출처; 보안뉴스

[원문바로가기]


중기부, AI 헬스케어 스타트업 혁신과 글로벌 진출 방안 모색
AI헬스케어 기업의 육성을 위한 토론회 개최
‘강원 AI헬스케어 글로벌 혁신특구’ 및 ‘초격차 AI 스타트업 레벨업 전략’ 추진 일환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지난 4일 ‘AI 헬스케어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AI 건강관리(헬스케어)는 AI를 활용하는 산업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다. 기존에는 엑스레이·CT·MRI 등 영상을 분석해 질병을 검진하는 수준에 그쳤다면, 앞으로는 실시간 진단 및 수술 보조·디지털 치료제·유전체 분석·신약 개발 등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ICT와 바이오 분야의 우수한 인재가 많은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보다 적극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중기부는 지난 5월 강원도를 ‘AI 헬스케어 글로벌 혁신특구’로 지정해 AI 건강관리(헬스케어) 기업들이 규제의 제약에서 벗어나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세계적(글로벌) 인증기관과 협업해 신속한 해외 진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7월에는 ‘초격차 AI스타트업 레벨업 전략’을 발표해 AI 건강관리(헬스케어)를 AI 창업 초기기업(스타트업)의 고성장 5대 분야 중 하나로 지정해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강원 AI헬스케어 글로벌 혁신특구에서는 지난 7월 18일 중기부 임정욱 창업벤처혁신실장과 TUV 라인란드 시모 드키시 부회장이 체결한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AI 의료기기 개발 단계부터 성능검증과 시험검사 전반에 걸친 기술자문·사전검토·신속인증 등을 지원하고 AI 의료기기의 신뢰성 확보와 EU 규제 대응을 위한 양국 전문가들의 교류협력도 추진하기로 했다.

AI 건강관리(헬스케어)는 AI를 활용하는 산업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이다. 기존에는 엑스레이·CT·MRI 등 영상을 분석해 질병을 검진하는 수준에 그쳤다면, 앞으로는 실시간 진단 및 수술 보조·디지털 치료제·유전체 분석·신약 개발 등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ICT와 바이오 분야의 우수한 인재가 많은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보다 적극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중기부는 지난 5월 강원도를 ‘AI 헬스케어 글로벌 혁신특구’로 지정해 AI 건강관리(헬스케어) 기업들이 규제의 제약에서 벗어나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세계적(글로벌) 인증기관과 협업해 신속한 해외 진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중략)